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돼지고기 도매가가 오르고 있다.

경제

by flameorange 2025. 5. 2. 18:34

본문

반응형

돼지고기 가격이 최근 할 달새 10% 올랐습니다. 번식주기 여파로 인해서 생산량이 줄어든 탓도 있고, 환율의 변동이 심한 탓에 수입량의 감소도 한 몫을 한 것 같습니다.

아울러 돼지고기 소매가격도 올랐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 물가 지수에 따르면 24년 3월과 비교했을때 6.5% 올랐으며, 같은 기간 외식으로 먹은

삼겹살의 가격은 1.8% 상승했습니다. 

이는 가공식품의 가격 인상으로도 이어질 조짐이 보입니다.

수입돼지고기가 대부분 햄과 같은 가공식품에 사용이 되어지고 있어 고환율 여파로  수입산의 가격이 오르면

가공식품 가격에 곧 바로 반영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1. 수요 측 요인

요인설명
명절·휴가철 수요 증가 설, 추석, 여름 휴가철 등 고기 소비가 급증하는 시기에는 도매가격이 상승함.
외식 수요 회복 코로나19 이후 외식업 회복, 캠핑 및 야외활동 증가로 삼겹살 수요가 늘어남.
특정 요리 유행 인기 방송이나 SNS 등에서 특정 돼지고기 요리가 유행할 경우 일시적 수요 급증.
소득 증가 및 소비심리 개선 경기 회복기에는 소비자들이 더 좋은 품질의 고기를 선호하게 되며 가격 상승 유도.
 

🐖 2. 공급 측 요인

요인설명
도축두수 감소 질병, 사육두수 감소 등으로 공급이 줄면 가격 상승.
ASF(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시 일부 지역 생산 차질, 이동 제한 등으로 공급 부족 유발.
사료 가격 상승 곡물(옥수수, 대두 등) 가격 상승 → 사육 비용 증가 → 도매가 반영.
폭염·한파 등 이상기후 극한 기후는 사육 환경 악화 → 폐사율 증가 → 공급 감소.
 

🐖 3. 외부 환경 요인

요인설명
국제 수입 원가 상승 수입육 가격 상승 또는 환율 상승 시 국내산 수요 집중, 도매가 상승 압력.
물류비 인상 운송비, 냉장 보관 비용 증가가 원가에 반영되어 도매가에 영향.
정부 정책 변화 수입 규제, 축산물 도축/검역 기준 강화 등으로 유통량 제한 가능.
 
일각에선 돼지고기 가격이 점차 조정을 받을 거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6월이 되면 생산량이 점차 줄어들고 현재의 소비 위축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 참고자료 및 데이터 출처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