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울러 돼지고기 소매가격도 올랐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 물가 지수에 따르면 24년 3월과 비교했을때 6.5% 올랐으며, 같은 기간 외식으로 먹은
삼겹살의 가격은 1.8% 상승했습니다.
이는 가공식품의 가격 인상으로도 이어질 조짐이 보입니다.
수입돼지고기가 대부분 햄과 같은 가공식품에 사용이 되어지고 있어 고환율 여파로 수입산의 가격이 오르면
가공식품 가격에 곧 바로 반영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명절·휴가철 수요 증가 | 설, 추석, 여름 휴가철 등 고기 소비가 급증하는 시기에는 도매가격이 상승함. |
외식 수요 회복 | 코로나19 이후 외식업 회복, 캠핑 및 야외활동 증가로 삼겹살 수요가 늘어남. |
특정 요리 유행 | 인기 방송이나 SNS 등에서 특정 돼지고기 요리가 유행할 경우 일시적 수요 급증. |
소득 증가 및 소비심리 개선 | 경기 회복기에는 소비자들이 더 좋은 품질의 고기를 선호하게 되며 가격 상승 유도. |
도축두수 감소 | 질병, 사육두수 감소 등으로 공급이 줄면 가격 상승. |
ASF(아프리카돼지열병) | 발생 시 일부 지역 생산 차질, 이동 제한 등으로 공급 부족 유발. |
사료 가격 상승 | 곡물(옥수수, 대두 등) 가격 상승 → 사육 비용 증가 → 도매가 반영. |
폭염·한파 등 이상기후 | 극한 기후는 사육 환경 악화 → 폐사율 증가 → 공급 감소. |
국제 수입 원가 상승 | 수입육 가격 상승 또는 환율 상승 시 국내산 수요 집중, 도매가 상승 압력. |
물류비 인상 | 운송비, 냉장 보관 비용 증가가 원가에 반영되어 도매가에 영향. |
정부 정책 변화 | 수입 규제, 축산물 도축/검역 기준 강화 등으로 유통량 제한 가능. |
새마을금고 1716억원 부당대출 터졌다. (1) | 2025.05.03 |
---|---|
퇴직금 실물이전이란? 퇴직연금 수령 전 꼭 알아야 할 정보 (1) | 2025.05.02 |
국민연금 자동조정장치 도입이 될까? (1) | 2025.05.01 |
보험사 자본 규제 완화된다. (0) | 2025.04.30 |
상조1위 프리드라이프 웅진에게 인수된다. (3)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