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안전자산의 지위가 흔들리는 미국의 장기채권

경제

by flameorange 2025. 4. 15. 01:28

본문

반응형

 

오르락 내리락 마치 롤러코스터 같은 미국의 증시에 질린 투자자들의  피난처로 미국의 단기채권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 벅셔해서웨이 단기채 보유 2880억 3100만달러로 지난해 1296억 1900만달러에서 2배 늘어났다. ☆☆

월가에선 중국에서 미국 장기채권을 팔아치운게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예금보다 수익률이 높은 데다 쉽게 현금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결합되어 국내 채권시장에서도 단기채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2025년 4월 기준) 미국의 단기 및 장기 국채 수익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국채 수익률 비교

만기 구분수익률 (연 %)특징
단기 국채 (T-Bills) 약 4.09% 만기 1년 이하, 금리 변동에 민감하지 않음
장기 국채 (T-Bonds) 약 4.00% 만기 10년 이상, 금리 변동에 민감하여 가격 변동성 큼

​참고: 2025년 3월 25일 기준 단기 국채 수익률은 4.09%로 보고되었습니다. ​


📈 투자 시 고려사항

  • 단기 국채: 금리 변동에 덜 민감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 장기 국채: 금리 하락 시 가격 상승으로 인한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으나, 금리 상승 시 손실 위험이 있습니다.

 

★미국의 단기채권에 투자할 수 있는 대표적인 상품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안정성을 중시하는 투자자들이 많이 찾는 ETF 및 펀드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미국 단기채권 관련 인기 상품

🔹 1. SPDR Bloomberg 1-3 Month T-Bill ETF (티커: BIL)

  • 내용: 만기 1~3개월짜리 미국 국채(T-Bills)에 투자
  • 특징: 가장 단기 채권 ETF 중 하나로, 현금 대체 자산으로 많이 활용
  • 수익률(2025년 4월 기준): 약 연 4.8% 내외
  • 운용보수: 약 0.14%
  • 리스크: 거의 없음 (국채 중심)

🔹 2. iShares Short Treasury Bond ETF (SHV)

  • 내용: 1년 미만 단기 미국 국채에 투자
  • 특징: 유동성이 높고 안정적이며 금리에 민감
  • 수익률: 약 4.6% 내외
  • 운용보수: 0.15%
  • 리스크: 낮음

🔹 3. Vanguard Short-Term Treasury ETF (VGSH)

  • 내용: 1~3년 만기 미국 국채에 집중
  • 특징: 단기지만 BIL이나 SHV보다 약간 긴 만기를 보유
  • 수익률: 약 4.3%
  • 운용보수: 0.04% (아주 낮음)
  • 리스크: 낮음

🔹 4. PIMCO Enhanced Short Maturity Active ETF (MINT)

  • 내용: 단기 채권 중심의 액티브 운용 ETF
  • 특징: T-Bill 외에도 A등급 이상 회사채 포함 가능
  • 수익률: 약 5% 근처
  • 운용보수: 0.35%
  • 리스크: 조금 더 높음 (회사채 포함)

🧾 요약 비교표

상품명티커만기 범위수익률특징
SPDR T-Bill ETF BIL 1~3개월 4.8% 현금 대체
iShares STB ETF SHV 1년 이하 4.6% 초단기 안정
Vanguard ST Treasury VGSH 1~3년 4.3% 안정적 단기
PIMCO MINT ETF MINT 0.5~1.5년 ~5% 액티브 운용

📌 이런 분께 추천!

  • 금리 상승기에 현금 대기 자산으로 운용하고 싶은 분
  • 예금보다 약간 높은 안정적인 수익률을 원하는 분
  • 포트폴리오에 저위험 자산을 추가하고 싶은 투자자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와 IRP(개인형퇴직연금) 계좌에서 투자할 수 있는 단기채 펀드 및 국내 증권사에서 매수 가능한 해외 단기채 ETF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ISA 및 IRP 계좌에서 투자 가능한 단기채 펀드

ISA와 IRP 계좌는 세제 혜택을 제공하며, 다양한 금융 상품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단기채 펀드는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주요 단기채 펀드 예시

  • 삼성 단기채권 펀드: 국내 우량 단기채권에 투자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합니다.
  • 미래에셋 단기채권 펀드: 단기 국공채 및 우량 회사채에 투자하여 변동성을 최소화합니다.
  • 한국투자 단기채권 펀드: 단기 채권 중심의 포트폴리오로 안정적인 이자 수익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펀드들은 대부분의 증권사에서 ISA 및 IRP 계좌를 통해 투자할 수 있습니다. 각 증권사의 홈페이지나 앱에서 해당 펀드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국내 증권사에서 매수 가능한 해외 단기채 ETF

국내 증권사를 통해 해외 단기채 ETF에 투자할 수 있으며, 이는 환율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고려한 투자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주요 해외 단기채 ETF 예시

  • SPDR Bloomberg 1-3 Month T-Bill ETF (BIL): 미국 국채 중 만기 1~3개월의 T-Bill에 투자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합니다.
  • iShares Short Treasury Bond ETF (SHV): 만기 1년 이하의 미국 국채에 투자하여 금리 변동에 민감하지 않은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 Vanguard Short-Term Treasury ETF (VGSH): 만기 1~3년의 미국 국채에 투자하여 중단기 수익을 목표로 합니다.
  • PIMCO Enhanced Short Maturity Active ETF (MINT): 단기 채권에 액티브하게 투자하여 시장 상황에 맞는 유연한 운용을 추구합니다.

이러한 ETF는 국내 증권사의 해외 주식 거래 서비스를 통해 매수할 수 있으며, 각 증권사의 거래 플랫폼에서 해당 ETF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투자 시 고려사항

  • 세제 혜택: ISA 계좌는 일정 기간 유지 시 비과세 혜택을, IRP 계좌는 연간 납입액의 일정 비율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합니다.
  • 환율 리스크: 해외 ETF 투자 시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률 변동을 고려해야 합니다.
  • 상품 선택: 투자 목적과 기간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 매매시 발생하는 세금은 ..?  (4) 2025.04.15
운용성과가 좋은 펀드 및 ETF  (6) 2025.04.15
자산배분이란?  (6) 2025.04.14
채권과 연계 가능한 투자상품  (4) 2025.04.14
채권투자?  (1) 2025.04.14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