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융당국이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 대한 은행의 자본규제를 강화하기로 하면서 부동산 시장의 흐름에 중대한 변화가 예상됩니다. 은행이 주담대를 취급할 때 요구되는 자기자본 비율을 높이면, 대출 여력이 줄고 이는 곧 가계의 레버리지 축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자본규제는 은행이 위험자산을 운용할 때 보유해야 하는 자기자본 비율(BIS비율)을 의미합니다. 주담대는 담보가 있다는 이유로 그동안 비교적 낮은 위험 가중치를 적용받았지만, 최근에는 부동산 시장 과열과 가계부채 증가로 인해 주담대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구분 | 기존 | 2025년 7월 이후 | 변화 |
---|---|---|---|
주담대 위험가중치 | 35~50% | 50~65% | ↑ 상향 |
은행 요구 자기자본 | 대출금의 4~6% | 6~8.5% | ↑ 강화 |
적용 대상 | 은행 자체 기준 | 전 은행 공통 | ▶ 일원화 |
주담대는 전체 가계부채의 약 60% 이상을 차지하며, 특히 금리가 낮은 시기에 급증한 바 있습니다. 자본규제가 강화되면 은행은 고위험 대출에 더 많은 자본을 묶어야 하므로, 대출 심사 강화, 금리 인상, 취급 축소가 뒤따를 수밖에 없습니다.
주담대 자본규제는 사실상 간접적인 금리 인상 효과를 낳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대출 받기 더 어려워지고, 대출금리가 오르면 실수요자의 구매력도 제한됩니다. 이는 단기적으로 주택 수요를 억제하고, 과열 양상을 보이던 수도권 및 주요 대도시의 집값 안정화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은행의 주담대 자본규제 강화는 단기적으로는 집값 안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실수요자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정교한 규제 설계가 필요합니다. 부동산 시장은 대출이 좌우하는 만큼, 자금 흐름을 조절하는 정책은 집값을 잡는 핵심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신한금융의 상생대환대출.... (0) | 2025.06.20 |
---|---|
CNC K-기업들 뭉쳐서 국산화 (3) | 2025.06.19 |
여전채 금리 두 달 만에 최고치!! (3) | 2025.06.18 |
속도 붙는 Money move (5) | 2025.06.17 |
통장도 ETF도 SILVER RUSH (4) | 202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