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태양광의 핵심, 탠덤패널 기술 주목
태양광 산업이 새로운 기술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기존의 PERC(Cell) 기반 기술이 효율의 한계에 도달하면서, 차세대 고효율 태양광 기술로 '탠덤패널(Tandem Panel)'이 부상하고 있다.
그 중심에 바로 한화큐셀(Hanwha Qcells)이 있다.
한화큐셀은 최근 탠덤 셀 양산형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글로벌 에너지 전환 시대의 주도권 확보를 위해 기술 투자를 확대 중이다.
탠덤패널이란 무엇인가?
탠덤(Tandem) 구조는 이종 태양전지 기술을 적층해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식이다.
특히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 위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겹치는 2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항목 기존 단일 셀 탠덤 셀
구성 실리콘 단일층 페로브스카이트 + 실리콘 2단 구조
이론효율 한계 약 26.5% 약 35% 이상 가능
상용화 시점 현재 2025년 이후 예상
주요 개발 기업 중국, 유럽 기업 다수 한화큐셀, 옥스포드PV 등
한화큐셀의 경우, 이 구조를 통해 28% 이상의 셀 효율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국내외 연구소 및 협력사와 공동 개발을 진행 중이다.
한화큐셀의 기술 전략: 페로브스카이트 탠덤 개발 가속화
한화큐셀은 독일 탈하임의 기술센터와 한국 R&D 센터를 중심으로 탠덤 셀 연구를 집중 강화하고 있다.
2023년에는 페로브스카이트 탠덤 셀에서 세계 최고 수준인 29.3%의 효율을 달성하며 업계를 놀라게 했다.
주요 전략 요약:
R&D 집중 투자: 매출의 상당 비율을 연구개발에 투입 (연 2,000억 원 이상)
국내 생산 강화: 2024년부터 국내 공장에서 탠덤 셀 시험 생산 돌입
탄소중립 대응: 고효율 제품을 통해 LCOE(균등화발전단가) 절감 → 기업 및 국가 RE100 수요 대응
미국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수혜: 미국 현지 생산라인 확대 통해 보조금 혜택 확보
왜 탠덤 기술이 중요한가?
글로벌 태양광 시장은 이미 공급과잉 상태이며, 효율과 품질 중심의 경쟁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특히 RE100, ESG 경영,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으로 인해 높은 발전 효율과 낮은 탄소 배출을 동시에 만족하는 기술이 필수가 되었다.
탠덤 셀은 바로 이 문제를 해결할 궁극적인 차세대 기술로 평가받는다.
> 탠덤 셀의 높은 효율은 더 적은 면적으로 더 많은 전력을 생산하게 해주며, 이는 건물용 BIPV(건물일체형태양광), 차량용 솔라루프 등으로 확장 가능하다.
글로벌 경쟁 속 한화큐셀의 위치
중국, 유럽, 미국 등의 선도 기업들도 탠덤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상용화 속도 면에서 한화큐셀은 빠르게 선두 그룹에 진입 중이다.
중국 업체: 대규모 투자 있지만 페로브스카이트 안정성 검증 미흡
유럽 업체: 옥스포드PV 등 기술력 뛰어나나 생산설비 부족
한화큐셀: 글로벌 생산기지, 기술력, 자금력 모두 갖춘 유일 기업 중 하나
2025년부터 양산 라인 가동이 현실화되면, 한화큐셀은 글로벌 고효율 태양광 시장을 주도할 위치에 설 가능성이 크다.
마무리: 한화큐셀의 탠덤패널, 에너지 전환의 핵심 기술
한화큐셀은 단순한 모듈 생산 업체를 넘어, 고효율·친환경 에너지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 변신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바로 탠덤 셀이라는 차세대 기술이 있다.
😏효율 30%에 가까운 셀
😒탄소 배출 최소화
🙄글로벌 RE100 수요 충족
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모두 충족할 수 있는 탠덤 패널은, 향후 10년간 태양광 산업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다.
한화큐셀의 빠른 기술 상용화와 전략적 투자 행보는, 국내외 재생에너지 시장에서 대한민국 기술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강력한 무기가 되고 있다.
동서식품 가격 인상, 그 배경은 무엇인가? (2) | 2025.05.24 |
---|---|
대상 김 육상양식 사업자: 미래 수산업의 게임체인저 (2) | 2025.05.24 |
한온시스템, 경영쇄신 본격화…위기 극복 위한 체질 개선 돌입 (3) | 2025.05.22 |
미래에셋자산운용, 운용자산 400조원 돌파! 그 배경은? (2) | 2025.05.22 |
아이스크림 가격 또 오르나? 소비자와 업계 모두 긴장 중 (0) | 2025.05.22 |